고난주간 묵상, 마태복음 21:12-17 성전 청결
성전을 정결하게 하신 예수님 (마태복음 21:12-17)
성전청결 사건은 요한복음에는 가장 앞에, 그리고 공관 복음서에는 예루살렘 입성 후 바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종려주일인지, 월요일인 약간의 논란이 있지만 대체로 월요일로 봅니다. 월요일에는 성전청결 사건과 무화과나무 저주 사건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고난주간에 행하신 사건 가운데 성전을 정결하게 하신 장면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단순한 분노의 표출이 아니라, 하나님의 집이 본래의 기능을 상실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보여주는 강력한 메시지입니다. 예수님은 성전을 가득 채운 장사꾼들과 돈 바꾸는 자들을 내쫓으시며, 성전이 강도의 소굴이 되었음을 책망하셨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성전에서 병자들을 고치시고, 어린아이들의 찬양을 받으시는 장면을 통해 성전이 참된 예배의 자리로 회복되어야 함을 가르치셨습니다. 우리는 이 사건을 통해 주님께서 원하시는 참된 신앙이 무엇인지 깊이 묵상해야 합니다.
성전을 정결하게 하신 예수님
마태복음 21장 12-13절을 보면, 예수님께서는 성전에 들어가셔서 장사하는 자들과 돈 바꾸는 자들을 내쫓으셨습니다. 당시 성전에서는 유대인들이 예배를 드리기 위해 성전세를 내야 했고, 희생제물을 드려야 했습니다. 그런데 제사장들과 장사꾼들은 이를 돈벌이의 수단으로 삼아, 성전 마당에서 과도한 환전 수수료를 받고, 희생제물을 비싼 가격에 판매하였습니다. 이렇게 성전은 하나님을 경배하는 장소에서 장사하는 곳으로 변질되었습니다.
예수님은 이 모습을 보시고 크게 분노하시며 "내 집은 기도하는 집이라 일컬음을 받으리라 하였거늘 너희는 강도의 소굴을 만드는도다"(마 21:13)라고 책망하셨습니다. 이 말씀은 이사야 56:7과 예레미야 7:11을 인용한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성전을 기도하는 집으로 정하셨으나, 종교 지도자들은 이를 상업적인 공간으로 바꾸어 버렸던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의 신앙을 돌아볼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교회는 하나님을 예배하는 곳이며, 세상의 가치가 아닌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지는 곳이어야 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교회가 본래의 기능을 잃고 인간적인 욕망과 세속적인 논리가 자리 잡기도 합니다. 예수님께서 성전을 깨끗하게 하셨듯이, 우리의 마음도 정결하게 해야 합니다. 하나님 앞에서 우리의 신앙이 순수한지, 참된 예배를 드리고 있는지를 점검해야 합니다.
성전에서 이루어진 치유와 회복
예수님께서 성전을 깨끗하게 하신 후, 맹인과 저는 자들이 예수님께 나아왔고, 주님은 그들을 고쳐 주셨습니다(마 21:14). 성전이 본래의 목적을 회복하자, 그곳에서 하나님의 역사와 치유가 나타난 것입니다. 성전은 장사하는 자들의 거래 장소가 아니라, 하나님의 임재가 충만한 곳이어야 합니다.
이 장면은 우리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줍니다. 신앙이 형식적인 종교 행위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참된 예배가 회복될 때 하나님께서 역사하십니다. 예수님께서 성전을 깨끗하게 하신 것은 단순히 장사꾼들을 내쫓기 위함이 아니라, 그곳을 하나님께서 임재하시는 거룩한 자리로 회복하시기 위함이었습니다. 우리가 예배드리는 공간뿐만 아니라, 우리의 마음도 정결하게 하여 주님이 거하실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어린아이들의 찬양과 종교 지도자들의 반응
15절에서는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예수님께 분노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성전에서 병자들이 고침을 받고, 예수님의 권능이 드러나는 것을 보며 그들은 불편한 마음을 가졌습니다. 또한, 그들은 이전에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입성하실 때 많은 무리와 어린아이들이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마 21:9)라고 외쳤던 일을 떠올렸습니다. 그들은 예수님께 "이 사람들이 하는 말을 듣습니까?"(마 21:16)라고 따져 묻습니다. 이는 그들이 예수님을 메시아로 인정하지 않았고, 사람들이 예수님을 높이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겼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그들의 반응에 시편 8:2의 말씀을 인용하시며 답하십니다. "어린아이와 젖먹이들의 입에서 나오는 찬미를 예비하셨나이다." 이는 하나님께서 단순히 높은 지위에 있는 자들이 아니라, 순수한 자들의 찬양을 받으신다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 하나님 나라의 진리는 인간의 교만과 지식으로 깨닫는 것이 아니라, 겸손한 자들에게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순수한 마음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받고 약속을 믿는 어린아이와 같은 신앙을 하나님은 기뻐하시며, 그들을 통해 역사하신다는 의미입니다.
우리도 신앙생활을 하면서 종종 형식적인 신앙에 머물러 있을 때가 있습니다. 하나님을 향한 찬양과 기쁨이 우리의 삶에서 사라진 것은 아닌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예수님께서 기뻐하시는 것은 우리의 입술로만 하는 찬양이 아니라, 진실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찬양입니다. 교만과 형식을 버리고, 어린아이와 같은 순전한 믿음으로 주님을 찬양해야 합니다. 진정한 믿음은 복잡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에 대한 온전한 신뢰를 통해 모든 것을 회복하십니다.
어린아이들의 찬양과 종교 지도자들의 반응
15절에서는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예수님께 분노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성전에서 병자들이 고침을 받고, 예수님의 권능이 드러나는 것을 보며 그들은 불편한 마음을 가졌습니다. 또한, 그들은 이전에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입성하실 때 많은 무리와 어린아이들이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마 21:9)라고 외쳤던 일을 떠올렸습니다. 그들은 예수님께 "이 사람들이 하는 말을 듣습니까?"(마 21:16)라고 따져 묻습니다. 이는 그들이 예수님을 메시아로 인정하지 않았고, 사람들이 예수님을 높이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겼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그들의 반응에 시편 8:2의 말씀을 인용하시며 답하십니다. "어린아이와 젖먹이들의 입에서 나오는 찬미를 예비하셨나이다." 이는 하나님께서 단순히 높은 지위에 있는 자들이 아니라, 순수한 자들의 찬양을 받으신다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 하나님 나라의 진리는 인간의 교만과 지식으로 깨닫는 것이 아니라, 겸손한 자들에게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우리도 신앙생활을 하면서 종종 형식적인 신앙에 머물러 있을 때가 있습니다. 하나님을 향한 찬양과 기쁨이 우리의 삶에서 사라진 것은 아닌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예수님께서 기뻐하시는 것은 우리의 입술로만 하는 찬양이 아니라, 진실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찬양입니다. 교만과 형식을 버리고, 어린아이와 같은 순전한 믿음으로 주님을 찬양해야 합니다.
결론
예수님께서 성전을 정결하게 하신 사건은 단순한 분노의 표현이 아니라, 하나님의 집이 본래의 기능을 회복해야 함을 가르쳐 주는 중요한 메시지입니다. 성전은 기도하는 집이 되어야 하며, 장사하는 자들의 시장터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예수님께서 성전을 깨끗하게 하셨을 때, 그곳에서 치유와 회복이 일어났고, 어린아이들의 찬양이 울려 퍼졌습니다.
오늘날 우리도 우리의 신앙을 돌아보아야 합니다. 교회뿐만 아니라 우리의 마음이 성전과도 같습니다. 우리의 마음속에 탐욕과 세속적인 가치가 자리 잡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거룩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 우리는 날마다 우리의 마음을 정결하게 하며, 참된 예배자가 되어야 합니다.
고난주간을 보내면서, 예수님께서 성전을 정결하게 하신 사건을 묵상하며 우리의 신앙을 새롭게 해야 합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길을 따르며, 우리의 신앙이 형식적인 신앙이 아니라, 참된 믿음과 순종으로 하나님께 나아가는 삶이 되기를 기도합니다. 우리의 삶이 하나님께서 거하시는 성전이 되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성경강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난주간 예수님의 행적(종려주일에서 부활주일까지) (0) | 2025.03.14 |
---|---|
고난주간 묵상, 마태복음 21:18-19 무화과나무 저주 (0) | 2025.03.14 |
고난주간 묵상 마 21:1-11 왕의 입성 (0) | 2025.03.14 |
댓글